
20240125Thu 클론 디자인 시작, 맡은 부분 : 마이리얼트립 카테고리 - 숙소 - 펜션 풀빌라 오늘 한 것 : 개인 UI 구조 분석 마무리, 개인 클론 디자인 + 개선 간격 잡는 것 .. 어렵진 않지만 할 게 너무 많은 No가다..랄까요? 팀원분들이랑 각자 폰에 있는 여행앱으로 UI 설계 패턴 조사했는데 야놀자 .. 평소에는 못느꼈지만 마리트 분석하다 보니 잘 만든 앱 .. 이란 걸 알게 됨 마리트 ,, 보면 볼수록 자꾸만 허점이 보이는 녀석! 이쁘게 개선시켜서 혼쭐내줘야지! 어제는 뱀 목 거북이 타이틀 걸고 오늘은 기린 타이틀 걸었다. 몸뚱아리 중 갈아끼우고 싶은 내 항목 안구, 치아, 척추 .. 시력 4.0 주세요 건치 주세요 꼿꼿 척추 주세요 이제 야작하면서 엄마라고 부를 기린을 좀 찾다가 ..

20240124Wed UI 구조 분석 시간 지분 800% 였던 오늘 하루 오전 9시부터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또 열심히 불태웠습니다. [어제는 궁둥쓰였지만 오늘은 척추박살과 거북목 이슈로 컴백] Step 4 부분을 각자 조사한 다음 모여서 '우리끼리 미니 발표회'를 당차게 한 후 의견을 종합해 보았더니 갈리는 문제가 있었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튜터님께 찾아갔지만 뭔가 .. 속 시원한 답변은 듣지 못했다. 다시 팀원분들과 머리를 맞대어 질문의 답을 찾아가기 시작했고, 조금씩 하다보니 금새 Step4 끝!! 살면서 처음 해보는 UI 구조 분석이라 .. 이렇게 하는 게 맞나? 나 지금 잘 하고 있나? 이런 생각이 끊이질 않았던 것 같다. 그래서 처음으로 튜터님께 질문을 드리러 갔고.. 제 3자가 해주는 인정, ..

20240123Tue UI 구조 분석 기반의 클론디자인 9:10 발제 듣고 바로 팀플 시작 후 달리고 달려서 Step 3까지는 거의 완료했다. 저번주부터 프로젝트 걱정을 백만 번을 했기 때문에,,, 그 어떤 주제가 나와도 두렵지 않단 마인드 였지만 막상 발제 듣고 나니 멘탈 탈탈탈,, 멘탈은 원래 탈탈 털리는 거라서 멘탈인가요?ㅜ,,,따흑 앱 선정 클론 디자인 전 사용자 행동 분석 마이리얼트립을 이용하는 주 고객층이 누구인지 자료를 찾아보고, 앱 리뷰를 통해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찾아보았다. 사용자 서비스 이용 과정 유저 플로우 .. 사용자의 행동, 감정, 생각을 적는 게 생각보다 어려웠고 도메인? 뭐죠 그게ㅜㅜ.. 저는 www.이 도메인인 줄 알고 있던 디린이인 걸요.. 그래서 튜터님께 SOS .. 유저..
문제점 : 어떤 문제가 있었나요? 특강을 다시 듣다보니 유저 저니맵,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등의 용어가 헷갈렸다. 시행착오 : 어떤 것들을 시도해 봤나요? 구글이나 네이버에 서치해보기, 디자인 입문 강의 목차 확인 후 다시 듣기 해결 방법 : 해결 했다면 어떻게 해결했나요? 구글링을 통해 어떨 때 사용하는 방법인지, 정확한 뜻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었다. * 구글링시 정확하지 않는 자료일 수도 있기 때문에 최소 3회 이상의 서치를 통해 같은 값이 나올 때까지 주의해야 한다. 알게된 점 :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느낀점이나 새롭게 알게된 점이 있나요? 저니맵 : 사용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시한 것 • 저니맵에는 정해진 템플릿은 없지만 페르소나, 시나리오, 기대행동/목표 ..
Over view : 한 주 동안 한 일을 자세히 적기 제출한 과제에 대한 1차 피드백을 바탕으로 17일, 18일, 19일 3일간 과제 수정을 진행했고 17일 : 디자이너의 소프트 스킬, 18일 : 유저의 길을 만드는 디자인 | 디자인 입문 특강, 19일 : 피그마 활용법 개인과제 특강을 들으며 앞으로의 디자이너로서의 역할에 대해 조금 더 생각해 보고, 스스로를 평가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피그마 활용 강의를 복습하려다가 과제 수정을 해보면서 헷갈리는 부분들이 있을 때 강의를 참고하여 다시 제작해보는 식으로 피그마 활용 강의를 열어보게 되었고 그 밖에 UXUI 관련 아티클을 읽어보거나 디자인 계정을 찾아보며 스스로의 디자인 눈을 길러보기도 했다. 타이트하게 쫓길 일이 없는 편안한 한 주를 보낸 것 같다...
* 팝업 (Popup) : Pop 하고 튀어나오는 웹 페이지 표시 방법, 새로운 웹 페이지 창을 하나 더 추가하는 방식 * 모달(Modal) : 한 페이지에서 상위 레이어를 띄우는 방식, 기존 페이지 + 새 레이어 (이 때 레이어를 종료하지 않는 이상 기존 페이지는 작동 불가능) * 논 모달(Non-Modal) : 모달과 방식은 동일하지만 레이어를 종료하지 않아도 기존 페이지 작동 가능 모달의 두 가지 종류, * 백그라운드가 어둡게 처리된 상태 딤드 모달에는 기존 페이지를 작동할 수 있냐, 없냐를 기준으로 모달과 논 모달으로 나뉜다. 즉 다이얼로그(Alert, Simple 등)는 모달 형식, 시트(Side, Bottom)는 모달/논 모달 혼용, 스낵바(Banner, Menu, Tooltip)는 논 모달 ..
문제점 : 어떤 문제가 있었나요? 아티클을 분석하는데 헷갈리는 용어가 생각보다 많았다. '아 전에 들었던 것 같은데' 라고 생각하게 되는 부분들이 꽤 있었던 것 같다. 시행착오 : 어떤 것들을 시도해 봤나요? 뜻을 검색해보고, 다른 아티클을 찾아보면서 이 단어가 어떨 때 쓰이는지 사례를 찾아봤다. 해결 방법 : 해결 했다면 어떻게 해결했나요? 사례를 접하다보니 자연스레 '아 이럴 때 사용하는 거구나' 인지하게 되었고 나의 경험에서 사례를 찾아보며 되새기는 방법을 통해 각인시키려 노력했다. 알게된 점 :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느낀점이나 새롭게 알게된 점이 있나요? 저번에는 넛지였는데 왜 지금은 다크 패턴이지? 넛지와 다크 패턴의 차이를 잘 모르고 있었는데 오늘 아티클을 읽고 찾아본 후 알게 되었다. (..
UX 라이팅 사례와 다크 패턴 디자인 * UX 라이팅 : UX 라이팅이란 사용자가 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는 앱 내 문구를 작성하는 과정 * 다크 패턴 디자인 : 사용자가 비합리적인(기업의 이익에 유리한)행동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교묘히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를 기만하는 디자인 사용자 경험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한 디자인은을 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다. 하지만 이와 반대의 경우가 존재한다면? '다크 패턴' 디자인 사용자의 행동을 서비스가 원하는 방향으로 설계하기 위해 사용자를 기만하는 요소를 곳곳에 배치한다. 서비스의 이익을 위해 사용자를 기만했다고 봐도 무관하지 않은가? 이는 분명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멤버십 가입 해지시 절차가 복잡했던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