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전공자의 앱 서비스 기획 과정 Re: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디자이너 생활 2/27-4/15 약 7주 서비스명 : 드림데잇 서비스 설명 : 연인의 취향을 알지 못하는 당신을 위한 데이트 코스 추천 앱 해결하고자 한 문제 : 데이트 코스 계획 시 상대방이 어떤 데이트 장소를 좋아하는지 잘 알지 못하여 장소 선택 과정에서 부담감을 느낀다. 핵심 기능 : 1. 취향 설정 온보딩: 연인과 연결하여 각자의 취향을 설정하고 서로의 취향을 앱 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서로의 취향을 기반으로 한 데이트 코스 추천: 온보딩 단계에서 설정한 취향을 바탕으로 홈 화면에서 추천 코스와 장소를 보여줍니다. 3. 찜을 기반으로 한 커플의 취향 분석: 서로가 찜한 내역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찜 화면과 찜한 장소를 기..

20240401월 주말 내 UT (1인 1명) 진행, UT 결과 공유 및 취합 * UT를 진행 후 정리 내용 온보딩 화면 VOC : 흥미는 있지만 단순함, 디테일 추가 필요성, 애매한 텍스트 홈 화면 VOC : 스크롤 가능할 정도의 콘텐츠를 원함, 콘텐츠 타이틀 통일 필요, 추천 코스 화면 VOC : 자동차 이동 시간 원함, 칩이 이질적임, 지도 위 핀의 위계 장소 상세 화면 VOC : 뒤로가기 버튼의 시각화 필요, 고정 상세 바텀시트 VOC : 실수를 방지할 스텝 추가 필요 찜 목록 화면 VOC : 정렬 필요, 필터의 직관적 인지가 부족 상세 필터 바텀시트 VOC : 아래 스크롤 원함, 탭 고정 찜 궁합 화면 VOC : 드롭다운 의미 파악 어려움, 텍스트를 버튼으로 인식, 콘텐츠 추가 원함 저장한 코스..

20240328(목) UT용 메이즈 제작 약 10가지의 테스크 중 핵심 테스크만 메이즈로 제작할 예정인데, 주말에 각자 UT 진행해 보고 핵심 테스크를 선정해 봐야 할 것 같다. 2. 파일럿 테스트 진행 주말 내 진행될 UT에 앞서,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다. - 튜터님 두 분의 도움으로 약 50분의 대장정 .. 적극적인 답변 .. 과 참여 감사합니다😂 - 파일럿 테스트 피드백 정리 후 테스크 재작성 전체적인 플로우와 기능적인 부분의 이해도에 대해 걱정을 많이 했는데, 그 부분은 다행이도! 큰 문제가 없었고 UI 부분에서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결론 사실 UT 를 빠르게 진행하려고 했기에 완성도 있는 UI를 구성해 놓진 않았는데, 이번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UT 전 UI를 수정하는 게 맞겠구나 .. 하..

20240326화 이번주는 UT를 진행하고, 유저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음주에는 디자인 고도화를 진행해야 하는데 ..!! 주말에 UT를 할 예정이라 이번주는 UT 계획과 디자인 상세 수정도 좀 하고 .. 피드백도 받으면서 .. 메이즈를 할지 고민을 해보려고 한다. 인생 첫 UT라 긴장 반, 걱정 반,.. 반치킨 상태라는 .. ㅜ 아 치킨 먹고싶다~~~ 🍗🍗 서비스 디자인 완료 후 프로토타이핑까지 연결 // 혹시 피그마 프로토타이핑 무서운 짤을 아는가? 블루 파스타라는 ,, 😰 다행이도 우리는 파스타까진 아니고 한 지렁이 정도? ㅎ 후 .. 여차저차 로우파이 완성 .. 토스트 프로토타이핑할 때 살짝 애를 먹었는데, 오픈 레이아웃으로 열고 딜레이 - 클로즈 레이아웃 걸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됨 🤭🤭 이럴 때 ..

20240320수 [디자인 컨셉] 참고 어플을 찾아보고 어떤 색을 주로 쓰는지 알아 본 후에 컬러 팔레트, 피커 등의 방법을 사용 -> 색 비교 => #F53C97 메인 컬러 픽스! 디자인 컨셉 정하는 게 이렇게나 어려운 일일 줄이야 ... 😰😰 + 서비스명 "드림데잇" 낙찰 + #8B55DE 메인 컬러 변경 20240321목 3차 무드보드 제작, 타이포/컬러 선택 1차 온보딩 화면 디자인 -> 수정 -> 2차 디자인 20240322금 모든 화면 디자인 => 스플래쉬, 온보딩 화면 11개, 핵심 화면 8개 정말 완벽한 디테일까지 잡지는 못했지만 이틀동안 12시까지 야작하며 .. 얻은 결과물 ^,^ 일단 UT 진행을 목표로 디자인 중이라 아직은 로우파이지만,, 앞으로 더 고도화시킬 생각에 사알짝 겁난다ㅎㅎ..

[팀별 회고] [중간 발표 피드백] 1. 심층 인터뷰나 설문조사 결과 등의 근거 부분 통계자료를 시각화하여 장표로 보여주기 2. 이 서비스는 다른 타켓에도 유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나요? 에 대한 답을 잘 생각해 보기 MVP에서는 날카롭게 특정 유저를 위한 특정 서비스를 정의하는 경우가 많고, 실제 서비스가 되어가고 있는 것들은 더 많은 유저들을 위해서 보완을 해나가는 상황 → MVP여서 특정 타겟을 잡았지만 추후에 더 넓힐 수 있다. 3. 감성적으로 터치하기 (정량적보다 정성적 데이터로 어필 -> 유저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한 사람이 있었다 등) 4. UT 진행하기5. 유저의 정성적 데이터를 보완해줄 수 있는 느낌으로 진행 → 온보딩에서의 UX라이팅으로 말랑말랑하게 하는 등 한 끗 차이로 ..

[ UI 레퍼런스 사이트 ] 1. WWIT 윗 https://wwit.design/tag/mobility Lifeplus 한국의 UI/UX 모바일 패턴을 수집합니다. wwit.design 2. MOBBIN 모빈 https://mobbin.com/browse/ios/apps 3. Disignus 디자이너스 https://designus.io 디자이너스 세상의 모든 디자이너들을 위한 공간, 디자이너스(Designus) designus.io 4. UIBOWL https://uibowl.io 유아이볼 | 매일 하루에 한개씩 업데이트 되는 패턴과 친해져요! 국내 UI/UX 패턴을 담은 공간, 유아이볼 uibowl.io 5. COLLECTUI https://collectui.com/designs